감독에 임하는 근로감독관·안전보건공단 직원들은 해당 사업장에 계속 있을 수 없다. 그리고 사업장에 대한 정보도 부족하다. 감독은 법 위반 적발 중심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근본적인 대책까지 접근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런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조치를 특별근로감독과 병행해야 한다. 그래야 소 잃고 고친 외양간이라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0524
특별근로감독은 ‘특별’해야 한다 - 매일노동뉴스
최근 포스코 광양공장·포항공장과 한국타이어 대전공장에서 중대재해로 노동자가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일이 연이어 발생했다. 해당 사업장들은 이미 이전부터 사망사고를 비롯한 공장 내 빈
www.labortoday.co.kr
'한노보연 활동 > ο언 론 보 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노동뉴스] 이정표 역할을 할 중대재해기업처벌법 (0) | 2021.01.07 |
---|---|
[매노칼럼] 법만 있고, 집은 없다 (0) | 2020.12.31 |
[건강한 노동이야기] 노동자들은 왜 휴게시간에 제대로 쉬지를 못하나?(20201223, 유선경, 민중의 소리) (0) | 2020.12.24 |
[매일노동뉴스 칼럼] 산업안전보건법 전부 개정, 시행착오 되풀이 말아야 (이숙견, 20201217) (0) | 2020.12.17 |
[건강한 노동이야기] 내 일상이 누군가의 위험으로 이어지지 않기를(김세은, 20201216, 민중의 소리) (0) | 2020.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