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에서는 ‘근로자대표제도 개선에 관한 노사정 합의문’을 전원일치로 의결했다.노사협의회 위원들에게 근로자대표 권한을 주겠다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었다.
현실에서 근로자대표가 ‘활용’되는 것은 공휴일을 연차휴가로 대체할 때처럼 근로조건 후퇴에 ‘동의’ 할 때이다. 사용자들은 노동자들에게 일일이 개별적으로 동의를 받지 않고도, 선출(?)된 근로자대표의 동의만 있으면 노동자들의 근로조건을 후퇴시킬 수 있다.
노동법이 개정될 때마다 변경합의의 주체로 근로자대표가 등장하는 것은, 근로자대표가 노동자들의 권리를 옹호할 사람이라기보다, 사용자가 가장 합의하기 쉬운 대상이기 때문일 거라는 의구심마저 든다.
===========
경사노위 ‘근로자 대표제 개선 노사정 합의’가 주는 의문점에 대해 유선경 회원님이 써주셨습니다.
www.vop.co.kr/A00001522448.html
'한노보연 활동 > ο언 론 보 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한 노동이야기] ‘과로사’에 대한 왜곡과 잘못된 변명(2020.11.3, 최민, 민중의소리) (0) | 2020.11.03 |
---|---|
[매일노동뉴스] 안전점검 위해 사업장 빗장 풀어야 (0) | 2020.11.02 |
[매일노동뉴스] 누가 죽어도 이상하지 않은 죽음의 노동 (0) | 2020.10.22 |
[건강한 노동이야기] 왜 사업주는 산재 신청을 싫어할까(20201021,김세은,민중의소리) (0) | 2020.10.21 |
[매일노동뉴스] 과로사 책임, 강하게 물어야 한다 (0) | 2020.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