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업환경의학의사가 만난 노동자건강이야기] 신규 병원노동자 이야기 /2016.10 신규 병원노동자 이야기 – 배우며 일하는 노동 김형렬 직업환경의학 전문의 근무를 시작한 지 6개월이 지난 종합병원 외과병동에 신입 간호사가 외래에 들어 왔다. 수면건강을 평가하는 설문도구의 점수가 매우 높았다. 이제 막 병원에 들어와 한 달에 6-8일 가량 야간 근무를 하는데,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수면장애가 없는 경우가 거의 없다. 야간 근무를 해야만 한다면 효과적인 적응을 위해 수면위생과 관련된 설명을 한다. 최근 “예방적 수면”, 혹은 “쪼개어 자기”라고 해서, 야간 근무 후에 아침에 퇴근하고 바로 수면을 취한 후 낮 1시 혹은 2시에 일어나 일상생활을 하고, 밤에 일하러 가기 전에 1-2시간 정도 수면을 취하고 가는 방법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이렇게 예방적 수면을 취하면 밤 근무.. 더보기
월 간 「일 터」/[직업환경의사가 만난...]

[직업환경의학의사가 만난 노동자건강이야기] 신규 병원노동자 이야기 /2016.10

신규 병원노동자 이야기
– 배우며 일하는 노동

 

 

 

김형렬 직업환경의학 전문의

 

 

 

근무를 시작한 지 6개월이 지난 종합병원 외과병동에 신입 간호사가 외래에 들어 왔다. 수면건강을 평가하는 설문도구의 점수가 매우 높았다. 이제 막 병원에 들어와 한 달에 6-8일 가량 야간 근무를 하는데,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수면장애가 없는 경우가 거의 없다. 야간 근무를 해야만 한다면 효과적인 적응을 위해 수면위생과 관련된 설명을 한다.

 

최근 “예방적 수면”, 혹은 “쪼개어 자기”라고 해서, 야간 근무 후에 아침에 퇴근하고 바로 수면을 취한 후 낮 1시 혹은 2시에 일어나 일상생활을 하고, 밤에 일하러 가기 전에 1-2시간 정도 수면을 취하고 가는 방법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이렇게 예방적 수면을 취하면 밤 근무 때 멜라토닌 분비를 늦추고, 덜 졸리게 되고, 더불어 아침에 집에 가서더 깊은 잠을 잘 수 있게 된다는 설명이다.

 

“야간 근무하고 나면 아침에 몇 시에 퇴근을 하나요?” “솔직히 말해도 돼요? 보통 12시에 퇴근해요.”“야간근무 끝나고……. 그러니까 인계 시간 이런 거 있는 거 아는데, 보통 1시간 정도인걸로 아는데……. 12시까지 일을 하는 거예요?” “네……. 제가 아직 많이 부족해서 그래요.”

그렇게 말하면서 눈물을 흘렸다. 예방적 수면을 이야기 하는 건 불가능한 근무조건이었다. 그 이후로 우울감을 묻게 되었고, 이와 관련한 심각한 상황을 확인하고 정신건강 상담과 치료를 권고하는 시간이 이어졌다.

 

상황은 이렇다. 최근 병원은 간호사들의 노동 내용과 강도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환자들에 대한 안전문제, 감염관리 등에 대한 책임이 강화되었고, 병원 경영 측면(?)에서 환자들의 입/퇴원도 잦아졌다. 이를 병상회전율이라고 하는데, 환자들이 초기 입원 시 지불하는 금액이 높다는 점 때문에 병상회전율이 높은 병원일수록 병원의 수익은 높아진다. 한 명의 환자를 입원, 퇴원 시키는 일이 간호사 업무의 힘든 정도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인데, 이렇듯 환자의 입퇴원이 잦아지는 것은 간호사 업무를 가중시키고 있다. 어느 현장에서나 그렇듯, 일은 늘어났지만 인력은 그대로이다.

 

이직률이 어느 직종보다 높다고 알려진 병원의 간호사 일은 언제나 신규직원들이 많다. 신규직원이 많다고 그날 해야 할 일이 줄어들지는 않는다. 일의 효율을 위해 신규 간호사가 맡아야 할 일의 상당 부분을 몇 년간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가 맡게 된다. 당연히 일이 서툴고 속도가 느린 신규간호사는 자기 일을 대신 처리해주는 선배 간호사들을 대신해서, 다른 노동을 부가적으로 더 처리하고 퇴근을 한다. “물품관리, 장부정리, 기초 행정처리” 등, 시간압박을 덜 받는 일들을 퇴근을 하고 나서도 해야 한다. 물론 이런 노동에 대한 임금은 지불되지 않는다.

 

이런 병원 환경에서 신규직원을 배려하지 않는 기존 직원들에 대한 비난만을 할 수는 없다. 어떻게든 일은 돌아가야 하고, 그 일은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일이라는 이유로 효율(?)적인 업무분장과 초과노동을 하도록 강요한다. 어렵게 취업에 성공했지만, 신규 직원에 대한 배려는 없다. “회사는 배우는 곳이 아니라 일하는 곳이다.”하고 말하며 능력이 안 되면 시간으로 때우라고 이야기 한다. 누구나 신규 직원이었을 때가 있었고, 그때 어떤 것이 힘들었는지 기억을 꺼내 보자. 그때 나에게 무엇이 가장 중요했는지…….

 

능력 있는 선배의 모습을 보며, “나도 시간이 지나면 이곳에서 저렇게 성장할 수 있겠구나” “일은 힘들지만, 선배들이 잘 챙겨줘요.”, “신규직원이라고 해도, 우리 이야기를 할 수 있는 통로가 있어요.”, “제가 돌봤던 환자가 건강하게 퇴원하는 걸 보면 힘들었던 것도 다 잊게 돼요.” 이런 말들을 들은 지 너무 오래되었다.

 

“시간이 지난다고 이런 허드렛일 하며 과연 선배처럼 될 수 있을까?”, “선배들도 하루하루 사는 게 전쟁인데, 말 붙이기도 힘들어요.”, “1년을 버티고 야간근무하며, 희망을 찾는 사람이 별로 없어요. 다른 데 갈 곳이 없어서 남아있죠. 신규 직원들이 자기 이야기 하는 건 불가능이에요. 누구에게 해야 하는지도 모르겠고요.”, “환자들 보면 잘해야지 생각하다가도, 저도 살아야 하잖아요. 그냥 일이죠.” 이제 이런 말들을 주로 듣게 되었다.

 

노동의 효율적 배치, 수익의 창출, 구조조정……. 이런 용어들이 환자를 돌보는 병원에서도 일상적으로 듣는 말이 되었고, 이 과정에서 신규 직원들의 “노동”은 자신의 몸과 마음을 망가뜨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