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 보고서] 2008 현대자동차 판매, 남양 조합원 직무 스트레스 실태 조사 및 대안 마련을 위한 연구 - 2차 사업 결과 보고서 - 목 차 Ⅰ. 사업 개요와 경과 1. 배경 - 1차 사업의 결론 1 2. 사업 기획 취지 3 3. 사업 경과 6 Ⅱ. 남양연구소위원회 1. 2007년 1차 사업 주요 결과 23 1.1.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위원회 노동자의 직무 스트레스 실태 23 1.1.1. 경쟁력 강화를 내세운 노동강도 강화 23 1.1.2. 수직적 통제와 수평적 분할을 통한 현장 통제 24 1.1.3. 노동강도와 직무 스트레스 강화 24 1.1.4. 훼손된 노동자의 건강과 일상 25 1.2. 제언 - 직무 스트레스 없는 일터를 위하여 26 1.2.1. 개발 계획보다 노동자의 몸과 삶을 중심으로 27 1.2.2. 일상의 권위적 통제에 저항하는 조직적인 불복종 27 1.2.3. 자본의 경계선을 넘어서는 일상활동 강화 28 2. 남양연구소위.. 더보기
노동안전 자료실/ο발간 보 고 서

[연구 보고서] 2008 현대자동차 판매, 남양 조합원 직무 스트레스 실태 조사 및 대안 마련을 위한 연구 - 2차 사업 결과 보고서 -

[2008]현대자동차_판매_남양_직무스트레스_2차.pdf


목 차


Ⅰ. 사업 개요와 경과

1. 배경 - 1차 사업의 결론 1

2. 사업 기획 취지 3

3. 사업 경과 6


Ⅱ. 남양연구소위원회

1. 2007년 1차 사업 주요 결과 23

1.1.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위원회 노동자의 직무 스트레스 실태 23

1.1.1. 경쟁력 강화를 내세운 노동강도 강화 23

1.1.2. 수직적 통제와 수평적 분할을 통한 현장 통제 24

1.1.3. 노동강도와 직무 스트레스 강화 24

1.1.4. 훼손된 노동자의 건강과 일상 25

1.2. 제언 - 직무 스트레스 없는 일터를 위하여 26

1.2.1. 개발 계획보다 노동자의 몸과 삶을 중심으로 27

1.2.2. 일상의 권위적 통제에 저항하는 조직적인 불복종 27

1.2.3. 자본의 경계선을 넘어서는 일상활동 강화 28


2. 남양연구소위원회 2차 사업의 목표 29

2.1. 직무 및 센터별 노동과정과 분할 지배전략에 대한 구체적인 파악 29

2.2. 연구직 출신의 초선 대의원과 생산직 출신의 기존 현장활동가 (재)조직화 29

2.3. 노동시간 단축을 위한 정책 대안과 현장통제 기제들에 대한 대중 직접행동의 실천 프로그램 마련에 기여 30

 

3. 남양연구소위원회 2차 사업의 실제 32

3.1. 사업 내용 공유를 위한 교육 32

3.2. 직무 스트레스 요인 설문 추가 분석 33

3.3. 심층면접조사 33

3.3.1. 주요 목표 33

3.3.2. 참여자 선정 33

3.3.3. 심층면접조사 방법 35

3.3.4. 심층면접조사 도구 35

3.3.5. 심층면접조사 분석 방법 38


4. 직무 스트레스 요인 추가 분석 결과 45

4.1. 물리적 환경 영역 45

4.2. 직무요구 영역 61

4.3. 직무 자율 영역 97

4.4. 관계 갈등 영역 107

4.5. 직무불안정 영역 114

4.6. 조직체계 영역 126

4.7. 보상부적절 영역 141

4.8. 직장 문화 영역 162


Ⅲ. 판매위원회

1. 2007년 1차 사업 주요 결과 179

1.1. 현대자동차 판매위원회 노동자의 직무 스트레스 실태 179

1.1.1. 실적과 고객만족을 내세운 구조조정과 현장 통제 179

1.1.2. 노동강도와 직무 스트레스 강화 180

1.1.3. 훼손된 노동자의 건강과 일상 181

1.2. 제언 - 직무 스트레스 없는 일터를 위하여 182

1.2.1. 일상적 구조조정에 대한 입장과 대응 182

1.2.2. 실적 지상의 구조에 대한 실천적 거부 183

1.2.3. 노동자 단결과 직접 행동의 복원 183


2. 판매위원회 2차 사업의 목표 184


3. 판매위원회 2차 사업의 실제 185

3.1. 사업 내용 공유를 위한 교육 185

3.2. 심층면접조사 185

3.2.1. 주요 목표와 집중점 185

3.2.2. 참여자 선정 186

3.2.3. 심층면접조사 방법 187

3.2.4. 심층면접조사 도구 188

3.3. 직무 스트레스 요인 설문 추가 분석 192

3.4. 영업비용 실제조사 193

3.4.1. 기획 취지 193

3.4.2. 조사 방법 193

3.4.3. 진행 경과 194


4. 직무 스트레스 요인 추가 분석 결과 196

4.1. 물리적 환경 영역 196

4.2. 직무 요구 영역 201

4.3. 직무 자율 영역 213

4.4. 관계 갈등 영역 221

4.5. 직무불안정 영역 228

4.6. 조직 체계 영역 236

4.7. 보상부적절 영역 245

4.8. 직장 문화 영역 254


Ⅳ. 국내외의 직무스트레스 관리 실태

1. 외국의 직무스트레스 관리 실태 (영국과 네덜란드의 사례를 중심으로) 259

1.1. 영국에서의 직무스트레스 관리 259

1.1.1. 작업관련 스트레스 관리기준(Management Standards for Work-related Stress)의 개발 배경 259

1.1.2. 작업관련 스트레스에 대한 지침기준 구성 방법 및 그 접근방식 261

1.1.3. 작업관련 스트레스 관리기준의 법 체계 내 지위 262

1.2. 네덜란드에서의 직무스트레스 관리 264

1.2.1. 네덜란드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상황 264

1.2.2. 네덜란드의 법체계와 국가 하부 구조 265

1.2.3. 직무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사업주 조직과 노동조합의 시각 265

1.2.4. 직무스트레스 및 사회심리적 위험 조사 평가 도구 266

1.2.5. 네덜란드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를 위한 예방방법 사례 266

1.2.6. 네덜란드 사례에서 배울 수 있는 교훈 267


2. 국내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문헌 검토 268

2.1.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이론적 고찰 268

2.1.1.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정의 및 전통적 두 가지 접근 방식 268

2.1.2.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에 요구되는 구성요소 270

2.2. 영국의 작업관련 스트레스 관리기준 271

2.3. 국내의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연구 274

2.3.1. 사업장내에서의 근로자들의 스트레스 극복 전략수립 및 실천적 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이강숙, 2000) 274

2.3.2. 직무스트레스의 통합적 예방관리 프로그램 개발 (우종민, 2002) 277

2.4. 결론 280


3. 고민해 볼 지점들 281

3.1. 사업주 의무 법제화 281

3.2. 직무 재설계 281

3.3. 중재요인 강화 프로그램 282

3.4. EAP(근로자 지원 프로그램) 도입 282

3.5. 현장의 참여 282

4.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대응 원칙 및 방향 284

4.1.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대응 원칙 284

4.2. 현장에서 가능할 활동들 285


====================================================================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Korea Institute of Labor Safety and Health)

서울시 동작구 남부순환로 2019, 501호
Tel : 02-324-8633
Fax : 02-324-8632
E-mail : kilshlabor@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