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판매위원회 직무스트레스 실태조사 2차사업 결과 보고서]
Ⅰ. 연구의 목적과 방법
1. 연구의 배경 1
1.1. 1차 사업 조사결과의 요약 1
1.2. 2차 사업의 기획과 목표 7
1) 현장상황과 그 원인에 대한 정확한 진단의 필요성 7
2) 2차 사업의 목적 8
2. 연구사업 경과 10
2.1. 1차 사업 결과 선전 10
1) 선전 계획 수립 10
2) 개인결과표 발송 10
3) 판매위원회 소식지 기획선전 10
4) 조합원 교육용 동영상 제작 11
5) 결과 보고 소자보 제작·배포 11
2.2. 직무스트레스 기제 연구 12
1) 사업 설계 12
2) 심층 면접 설계 12
3) 심층 면접 수행 12
4) 초점 집단 면접 13
5) 면접 결과 분석 및 해석 13
6) 설문조사 결과 추가 분석 및 해석 14
3. 연구 방법 15
3.1. 질적 연구 방법 15
1) 심층 면접 15
2) 초점 집단 면접 16
3.2. 설문조사 결과 심층 분석 17
1) 추적 관찰 조사 17
2) 설문조사 추가 분석 17
Ⅱ. 연구결과
1. 현대자동차 판매위원회 직무스트레스의 열쇳말
: 정가판매 제도의 실패, 가학적 인사 관리 그리고 노동자의 대응 19
1.1. 1차 심층 면접 19
1.2. 2차 심층 면접 20
1.3. 초점 집단 면접 22
1.4. 1차 사업 설문조사 결과 추가분석 23
2. 심층 면접 24
2.1. 정가판매 제도의 실패 24
1) 정가판매 제도 도입과 현황 24
2) 조합원들의 인식 26
3) 결과와 영향 29
4) 평가와 대응 - 드러나지 않은 목소리들 31
5) 소결 33
2.2. 가학적 인사 관리 34
1) 가학적 인사 관리의 정의와 사례 34
2) 가학적 인사 관리의 양상 36
3) 가학적 인사 관리의 영향 43
4) 평가와 대응 44
5) 소결 46
2.3 판매위원회 노동자들의 인식과 대응 48
1) 노동자들의 인식 48
2) 노동자들의 대응 양상 56
3) 소결 60
3. 초점 집단 면접 62
3.1. 정가판매 제도 62
1) 폐기할 수 없는 정가판매 제도 62
2) 정가판매 제도의 개선 방안 63
3.2. 시장 질서 확립 방안 66
1) 판매 주체들 간의 대화를 통한 시장 질서에 대한 동의 66
2) 대리점 소장 판권 제한 67
3) 대리점 노동자와의 연대 68
3.3. 실적중심 구조 69
1) 실적중심 구조가 보다 근본적인 문제 69
2) 실적 압박 중심의 구조 개선 방안 70
3.4. 소결 71
4. 추적 관찰 조사 72
4.1. 추적 관찰 조사 대상자 및 특성 72
1) 추적 관찰 조사 대상자 72
2) 대상자 특성 72
4.2. 주요 직무스트레스 요인 변화 73
4.3. 직무스트레스 요인 변화에 따른 직장 내 폭력 73
1) 직무 불안정 영역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변화에 따른 직장 내 폭력 74
2) 조직체계 영역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변화에 따른 직장 내 폭력 74
3) 관계갈등 영역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변화와 직장 내 폭력 75
4.4. 건강과의 연관성 75
1) 직무 불안정 영역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변화에 따른 건강 76
2) 조직 체계 영역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변화에 따른 건강 76
3) 관계갈등 영역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변화에 따른 건강 77
4) 건강 결과 요약 77
4.5. 소결 78
5. 설문조사 추가 분석 80
5.1. 분석의 목적 80
5.2. 분석 방법 80
5.3. 분석 결과 82
1)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건강 지표 82
2) 가학적 인사 관리의 경험에 따른 건강 지표 91
3) 감정노동, 정신적 소진감, 직장 내 폭력 경험에 따른 건강 지표 98
Ⅲ. 결론 및 제언
1. 결론 102
1.1 직무스트레스의 두 기제 : 정가판매 제도의 실패와 가학적 인사 관리 102
1.2. 직무스트레스의 결과 : 불안과 갈등 103
1.3. 조합원의 대응 : 조직되어야 할 목소리들 104
2. 제언 106
1.1. 직무스트레스와 노동 인권 침해의 원인 해결하기 106
1) 가학적 인사 관리 중단과 노동 인권 복원 106
2) 근시안적인 판매 정책과 실적 중심 구조 개혁 106
3) 정가판매 제도에 대한 평가와 일관된 판매 정책 수립 107
1.2. 위기에 처한 노동자를 위한 긴급 보호 체계 마련 107
1.3. 노동자 상호 신뢰와 공동 경험의 복원 108
====================================================================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Korea Institute of Labor Safety and Health)
서울시 동작구 남부순환로 2019, 501호
Tel : 02-324-8633
Fax : 02-324-8632
E-mail : kilshlabor@gmail.com
'노동안전 자료실 > ο발간 보 고 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집] 2015 현장연구 나눔마당 (0) | 2015.12.02 |
---|---|
[연구 보고서] 자동차부품사 주간연속2교대 시행 현황과 교대제 변화에 의한 영향 (0) | 2015.09.03 |
[연구 보고서] K전기 / I콘트럴스 장시간노동의 주요원인 조사결과 (0) | 2015.07.21 |
[자료집] 2014 현장연구 나눔마당 (0) | 2014.12.02 |
[연구 보고서] 2014 현대자동차 판매위원회 직무스트레스 실태조사 (0) | 2014.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