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유통업에 해당되는 글 2건
- 2018.12.07 [자료] 근로기준법 개정 이후 노동시간과 현장의 변화 연속 간담회 / 유통업 발제문
- 2018.12.07 [언론보도] 노동시간 단축이 비정규 여성노동자에 '폭력적'인 이유 (오마이뉴스)
글
노동안전 자료실/ο기타 공유자료
2018. 12. 7. 13:27
[자료] 근로기준법 개정 이후 노동시간과 현장의 변화 연속 간담회 / 유통업 발제문
- 토론: 정민정 (마트노조 사무처장), 하인주 (로레알코리아노조 위원장)
* 간담회에 제출된 발제문입니다. 인용시 출처를 반드시 밝혀주세요.
181121_유통업 개정근기법 간담회 자료(공개용).hwp
'노동안전 자료실 > ο기타 공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0220] 유가족과 함께 하는 기업처벌법 이야기마당 자료집 (0) | 2019.02.21 |
---|---|
[자료] 근로기준법 개정 이후 노동시간과 현장의 변화 연속 간담회 / 사무직 발제문 (0) | 2018.12.07 |
[자료] 근로기준법 개정 이후 노동시간과 현장의 변화 연속 간담회 / 유통업 발제문 (0) | 2018.12.07 |
[자료] 근로기준법 개정 이후 노동시간과 현장의 변화 연속 간담회 / 노선버스운송업 발제문 (0) | 2018.12.05 |
[자료] 캐나다 여성노동보건학자 캐런 메싱 강연회 영상 및 자료 (0) | 2018.11.06 |
[자료] 근로기준법 개정 이후 노동시간과 현장의 변화 연속 간담회 / 우편업 발제문 (0) | 2018.10.25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한노보연 활동/ο언 론 보 도
2018. 12. 7. 12:45
[언론보도] 노동시간 단축이 비정규 여성노동자에 '폭력적'인 이유 (오마이뉴스)
노동시간 단축이 비정규 여성노동자에 '폭력적'인 이유
[근로기준법 개정 이후 현장의 변화 추적기 ④] 유통업
18.12.07 11:42
최종 업데이트 18.12.07 11:44특례업종이었던 유통업이 최근 노동법 개정으로 특례에서 제외되면서, 주 52시간제 적용이 2019년 7월부터 이루어진다. 그러나, 실제로 기업들은 지금부터 다양한 방식으로 노동시간 단축으로 인한 손실을 대비하고 있다. 운수업나 우편업 같이 전형적인 유혈적 장기노동으로 특징지어지는 업종은 아니지만, 사용자 측이 앞장서서 노동시간을 줄이고 인원 감축과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노동자들의 노동강도와 임금 수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노보연 활동 > ο언 론 보 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론보도] 남 얘기가 아냐! 국민들이 모르는 ‘진짜 중요한 법’ (안전넷) (0) | 2018.12.13 |
---|---|
[언론보도] “유미가 살아 돌아오지 않는 한…가슴만 더 아파요” (한겨레) (0) | 2018.12.10 |
[언론보도] 노동시간 단축이 비정규 여성노동자에 '폭력적'인 이유 (오마이뉴스) (0) | 2018.12.07 |
[언론보도] 그는 일할 수 있는 다니엘 블레이크였다 ① 업무적합성 평가 (매일노동뉴스) (0) | 2018.12.07 |
[언론보도] 과로사 ․ 과로사고 막자면서 ‘과로 합법화’로 가자고요? (안전넷) (0) | 2018.12.05 |
[언론보도] [이슈토크] 현장 노동자 안전 관리는? (헬로티비) (0) | 2018.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