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보이지않는고통에 해당되는 글 24건
- 2018.11.09 [대담]"현장의 삶을 봐야" 여성의 일터로 걸어들어간 과학자, 캐런 메싱·김승섭 (경향)
- 2018.11.06 [자료] 캐나다 여성노동보건학자 캐런 메싱 강연회 영상 및 자료
- 2018.10.22 [강연회] 캐런메싱 강연회 안내 및 신청
- 2018.10.22 [언론보도] 여성노동보건학자 캐런 메싱, 내달 5일 ‘공감 격차 줄이기’ 강연 (여성신문)
- 2018.10.10 [언론보도] 기자는 누구에게 공감하나 (한국기자협회)
- 2018.10.08 [강연회] 캐나다 여성노동보건학자 캐런 메싱 강연회 안내
- 2018.04.05 [언론보도] [최형미의 다시 만난 세상] 과학은 거리두기 아닌 공감하기에서 출발한다 (여성신문)
- 2018.03.12 [언론보도] 과학자는 왜 현장 노동자에게 공감하지 못하는가? (프레시안)
- 2018.02.05 [언론보도] [세상을 읽는 책갈피] (1)아픈 건 개인 탓?…불평등 사회의 책임을 묻다 (경향)
- 2018.02.01 [언론보도] 근골격계질환 업무관련성과 ‘공감격차’ (매일노동뉴스)
- 2018.01.02 [안내] 한노보연 기획&출판 도서 안내
- 2017.12.28 [언론보도] 서평-40년간 노동자 건강을 연구한 학자가 쓴 <보이지 않는 고통> (오마이뉴스)
- 2017.12.18 사회건강연구소 2018년 상반기 독서모임 "날개 딸린 책꾸러미" 안내
- 2017.12.15 [언론보도] 노동자와 과학자, 서로 손 내미는 사회를 위해 (매일노동뉴스)
- 2017.11.29 [서평] 누군가의 고통은 보이지 않는다 / <보이지않는고통>
글
[대담]"현장의 삶을 봐야" 여성의 일터로 걸어들어간 과학자, 캐런 메싱·김승섭 (경향)
[대담]"현장의 삶을 봐야" 여성의 일터로 걸어들어간 과학자, 캐런 메싱·김승섭
입력 : 2018.11.07 15:20:00 수정 : 2018.11.07 19:27:58
캐런 메싱(75)은 ‘보이지 않는 고통’에 시달리는 노동자들의 일터로 걸어들어간 과학자다. 분자유전학자인 그는 캐나다 퀘백대학교에서 생물학 교수로 일하던 1978년 방사선에 노출된 제련 노동자들의 작업환경을 조사하게 되면서 직업보건·작업환경 연구에 입문했다. 의자에 앉는 것이 허락되지 않아서 하루종일 서 있는 판매직원들, 구부정한 자세로 반복작업을 계속하는 청소원들, 감정적 폭력에 시달리는 콜센터 직원들을 관찰하고 그들의 고통을 수치화했다. 그 결과물인 저서 <보이지 않는 고통>은 일상 속에 감춰진 일하는 이들의 고통을 이른바 ‘전문가’ ‘학자’들이 어떻게 외면해왔는지 드러내보인다.
'한노보연 활동 > ο언 론 보 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론보도] 노동시간단축에 예외는 없다 (매일노동뉴스) (0) | 2018.11.23 |
---|---|
[언론보도] ‘하루 10시간 이상 노동’ 한달에 열흘 넘으면 어찌 될까? (한겨레) (0) | 2018.11.23 |
[대담]"현장의 삶을 봐야" 여성의 일터로 걸어들어간 과학자, 캐런 메싱·김승섭 (경향) (0) | 2018.11.09 |
[언론보도] 잠 못 자는 고통에 대해서 (매일노동뉴스) (0) | 2018.11.09 |
[언론보도] '주 52시간 도입'... 집배원들이 불친절한 이유 (오마이뉴스) (0) | 2018.11.07 |
[언론보도] 이주민 건강 위해 선주민 나섰다 (건강미디어) (0) | 2018.11.07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자료] 캐나다 여성노동보건학자 캐런 메싱 강연회 영상 및 자료
2018년 11월 5일 저녁7시 서울대학교 연건캠퍼스 교육관에서 캐나다 여성노동보건학자 캐런 메싱 강연회 '공감 격차 줄이기: 한국과 캐나다의 경험과 과제'가 열렸습니다. 100여 명에 가까운 분들이 참석해주셔서 한국의 여성노동자 건강권 문제에 관심을 나눌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되었습니다. 미처 참석하지 못하신 분들을 위해 강연회 영상과 자료를 올립니다.
▲ 강연회 영상 보러 가기 https://youtu.be/yUZV-PwaIuw
'노동안전 자료실 > ο기타 공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 근로기준법 개정 이후 노동시간과 현장의 변화 연속 간담회 / 유통업 발제문 (0) | 2018.12.07 |
---|---|
[자료] 근로기준법 개정 이후 노동시간과 현장의 변화 연속 간담회 / 노선버스운송업 발제문 (0) | 2018.12.05 |
[자료] 캐나다 여성노동보건학자 캐런 메싱 강연회 영상 및 자료 (0) | 2018.11.06 |
[자료] 근로기준법 개정 이후 노동시간과 현장의 변화 연속 간담회 / 우편업 발제문 (0) | 2018.10.25 |
[자료] 근로기준법 개정 이후 노동시간과 현장의 변화 연속 간담회 / 제조업 발제문 (0) | 2018.10.25 |
[자료집] 병원업종의 직장 내 괴롭힘 근절방안 국회토론회 (0) | 2018.09.2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강연회] 캐런메싱 강연회 안내 및 신청
○ 신청하러 가기
http://bit.ly/%EC%BA%90%EB%9F%B0%EB%A9%94%EC%8B%B1%EA%B0%95%EC%97%B0%ED%9A%8C
'한노보연 활동 > ο활 동 소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자회견] 2018 전국평등행진 부산기자회견 (0) | 2018.10.22 |
---|---|
[기자회견] 정부와 국회는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으로 일하는 모든 사람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라! (0) | 2018.10.22 |
[강연회] 캐런메싱 강연회 안내 및 신청 (0) | 2018.10.22 |
[성명서] 경기도 이재명 도지사는 미등록 이주노동자 단속 강화 추진을 즉각 중단하라! (0) | 2018.10.10 |
[간담회] 근로기준법 개정 이후, 노동시간과 현장의 변화 연속 간담회 안내 (0) | 2018.10.08 |
[긴급좌담회] 반복되는 삼성사고,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0) | 2018.10.05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언론보도] 여성노동보건학자 캐런 메싱, 내달 5일 ‘공감 격차 줄이기’ 강연 (여성신문)
'한노보연 활동 > ο언 론 보 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론보도]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 “이번엔 반드시 통과 시킬 것” (노동과세계) (0) | 2018.10.23 |
---|---|
[언론보도] 세월호 참사 교훈,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으로 이어질까 (매일노동뉴스) (0) | 2018.10.23 |
[언론보도] 여성노동보건학자 캐런 메싱, 내달 5일 ‘공감 격차 줄이기’ 강연 (여성신문) (0) | 2018.10.22 |
[언론보도] 이주노동자 안전·건강과 노동허가제 (매일노동뉴스) (0) | 2018.10.18 |
[언론보도] 산업안전보건법 적용 제외를 없애야 한다 (매일노동뉴스) (0) | 2018.10.12 |
[언론보도] 기자는 누구에게 공감하나 (한국기자협회) (0) | 2018.10.1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언론보도] 기자는 누구에게 공감하나 (한국기자협회)
“나는 사업주와 과학자, 행정가들이 노동자를 존중하지 않고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하는 상태로 여러 노동조건과 노동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지켜봤다. 과학자나 정책 결정권자가 노동자의 입장에서 역지사지하려는 의지나 능력이 없는 것을 가리켜 나는 ‘공감 격차’라고 부른다.”
http://www.journalist.or.kr/news/article.html?no=44972
'한노보연 활동 > ο언 론 보 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론보도] 이주노동자 안전·건강과 노동허가제 (매일노동뉴스) (0) | 2018.10.18 |
---|---|
[언론보도] 산업안전보건법 적용 제외를 없애야 한다 (매일노동뉴스) (0) | 2018.10.12 |
[언론보도] 기자는 누구에게 공감하나 (한국기자협회) (0) | 2018.10.10 |
[언론보도] 주 52시간 시행 100일, “진작 그랬다면, 남편 내 옆에 있을 텐데…” 과로사·과로자살 유족들이 말하는 주 52시간제 입력 (국민일보) (0) | 2018.10.10 |
[언론보도] 노동자가 죽었지만... 신문은 또 침묵했다 (오마이뉴스) (0) | 2018.10.10 |
[언론보도] 이혼해서? 가족이 자살해서?] 납득하기 어려운 자살 산재 불승인 이유"업무상 스트레스 명확하면 정신병력 없어도 산재 인정해야" (매일노동뉴스) (0) | 2018.10.04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강연회] 캐나다 여성노동보건학자 캐런 메싱 강연회 안내
캐나다 여성노동보건학자 캐런 메싱 강연회
공감 격차 줄이기
한국과 캐나다의 경험과 과제
의사, 법률가, 학자들은 왜 노동자의 고통에 공감하지 못하나?
노동자의 보이지 않는 고통에 공감할 때 전문가는 무엇을 얻나?
"40년간 노동자의 건강을 연구해 온 캐런 메싱은 전문가들이 노동자의 보이지 않는 고통에 공감할 때,
노동자들이 연구에 적극 참여할 때, 보이지 않는 문제가 드러나고 새로운 해법이 펼쳐질 것이라고 말합니다."
- 캐런 메싱 (1943~)
서비스직노동자, 여성노동자의 보이지 않는 고통을 연구해 온 캐나다 여성노동보건학자,
<보이지 않는 고통>, <반쪽의 과학-일하는 여성의 숨겨진 건강문제>의 저자
- 일시: 2018년 11월 5일 (월) 저녁7시
- 장소: 서울대학교 연건캠퍼스 교육관 401호 강당 (지하철 4호선 혜화역 3번 출구)
- 강연
1. 과학자와 노동자, 공감격차 주링기 (캐런 메싱, 퀘백 대학)
2. 한국여성노동자 건강권 운동의 역사 (김현주,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통역이 제공됩니다
- 참가신청 http://bit.ly/%EC%BA%90%EB%9F%B0%EB%A9%94%EC%8B%B1%EA%B0%95%EC%97%B0%ED%9A%8C
- 문의처: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02-324-7633), laborr@jinbo.net
건강과대안, 노동건강연대, 사회건강연구소, 시민건강연구소, 일과건강,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한국여성노동자회 (가나다순)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언론보도] [최형미의 다시 만난 세상] 과학은 거리두기 아닌 공감하기에서 출발한다 (여성신문)
'한노보연 활동 > ο언 론 보 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론보도] 근로복지공단 안산병원 '2018 산업보건 콘서트' (매일노동뉴스) (0) | 2018.04.13 |
---|---|
[언론보도] 가만히 있으라? (매일노동뉴스) (0) | 2018.04.13 |
[언론보도] [최형미의 다시 만난 세상] 과학은 거리두기 아닌 공감하기에서 출발한다 (여성신문) (0) | 2018.04.05 |
[언론보도] 전선(電線) 위 참새와 전선(戰線) 위 노동자 (매일노동뉴스) (0) | 2018.04.05 |
[언론보도] "푹 자고 일하고 싶어..." 웹디자이너의 마지막 소원 (한겨레) (0) | 2018.04.04 |
[언론보도]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안 무엇을 보완해야 하나 (매일노동뉴스) (0) | 2018.03.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언론보도] 과학자는 왜 현장 노동자에게 공감하지 못하는가? (프레시안)
'한노보연 활동 > ο언 론 보 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론보도] [정부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안] '모든 일하는 사람 보호' 개정목적 못 따라가 (매일노동뉴스) (0) | 2018.03.19 |
---|---|
[언론보도] 일상의 안전이 일터에도 이어지길 (매일노동뉴스) (0) | 2018.03.19 |
[언론보도] 과학자는 왜 현장 노동자에게 공감하지 못하는가? (프레시안) (0) | 2018.03.12 |
[언론보도] 병원이 위험하다 (매일노동뉴스) (0) | 2018.03.09 |
[언론보도] [산업안전보건법 이번엔 제대로 바꾸자 ③] 정신건강에 대한 보호·예방 책임 미흡 (매일노동뉴스) (0) | 2018.03.09 |
[언론보도] [주52시간]'구로·판교의 등대' 게임업계 '발등의 불' (뉴스1) (0) | 2018.03.09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언론보도] [세상을 읽는 책갈피] (1)아픈 건 개인 탓?…불평등 사회의 책임을 묻다 (경향)
[세상을 읽는 책갈피] (1)아픈 건 개인 탓?…불평등 사회의 책임을 묻다
손가락 하나만 까딱하면 실시간으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시대에도, 우리는 여전히 책을 찾는다. ‘책과 삶’에서는 2018년의 주요 이슈를 책으로 매핑(mapping)하는 기획을 연재한다. 전문가들이 그린 책 지도를 나침반 삼아, 우리 사회의 이슈를 보다 깊이 있고 다양한 관점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건강과 사회’를 시작으로 블록체인·인공지능 등 4차 산업기술, 여성·젠더 등에 관한 글이 이어질 예정이다. |
의과대학 학생 시절, 경기 마석가구공단의 외국인 노동자 진료소에서 봉사활동을 했다. 당시 내 역할은 진료를 기다리는 노동자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어디가 아파서 왔는지 기록하는 일이었다. 네팔이나 방글라데시에서 온 젊은 그들이 주로 호소했던 증상은 기침과 가래였다. 목재를 손질할 때 먼지가 흩날리는데, 제대로 된 개인보호장비는 물론이고 환풍기 시설조차 없는 공장이 많았다. 언젠가 진료소에서 약을 받아 돌아가는 그들을 보며 선배에게 물었다. “형, 저 사람들 일하는 환경이 그대로인데, 우리가 처방한 약을 먹고 건강해질 수 있을까요?” 선배는 말이 없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02022053005&code=960205
'한노보연 활동 > ο언 론 보 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론보도] 산재사망 획기적 감소의 필요조건 (매일노동뉴스) (0) | 2018.02.08 |
---|---|
[언론보도] [기자수첩] 수당보다 근로자 건강이 우선 (매일일보) (0) | 2018.02.07 |
[언론보도] [세상을 읽는 책갈피] (1)아픈 건 개인 탓?…불평등 사회의 책임을 묻다 (경향) (0) | 2018.02.05 |
[언론보도] [현대차 아산공장 부품업체 산재 사망사고] 잇단 산재사고에 노동부 늑장대처 비판 높아 (매일노동뉴스) (0) | 2018.02.01 |
[언론보도] 근골격계질환 업무관련성과 ‘공감격차’ (매일노동뉴스) (0) | 2018.02.01 |
[언론보도] ‘운명의 날’ 앞둔 이재용… 강남역에 울려 퍼진 “이재용 엄벌” 목소리 (시사위크) (0) | 2018.02.01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언론보도] 근골격계질환 업무관련성과 ‘공감격차’ (매일노동뉴스)
올해 운 좋게도 노동자들이 일하는 현장을 더 깊게 들여다볼 기회를 얻었다. 근골격계질환으로 산재요양 신청을 한 사례들 중 건설일용직·조리종사자·요양보호사·택배기사, 이사를 포함한 하역종사자 등 일부 업종에 대해서 업무관련성 평가를 위해 현장조사를 나갈 수 있게 된 것이다.
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9518
'한노보연 활동 > ο언 론 보 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론보도] [세상을 읽는 책갈피] (1)아픈 건 개인 탓?…불평등 사회의 책임을 묻다 (경향) (0) | 2018.02.05 |
---|---|
[언론보도] [현대차 아산공장 부품업체 산재 사망사고] 잇단 산재사고에 노동부 늑장대처 비판 높아 (매일노동뉴스) (0) | 2018.02.01 |
[언론보도] 근골격계질환 업무관련성과 ‘공감격차’ (매일노동뉴스) (0) | 2018.02.01 |
[언론보도] ‘운명의 날’ 앞둔 이재용… 강남역에 울려 퍼진 “이재용 엄벌” 목소리 (시사위크) (0) | 2018.02.01 |
[카드뉴스] 32살 하청업체 노동자의 죽음 (0) | 2018.01.26 |
[언론보도] 영국 슈퍼마켓 회사에 벌금 37억원 선고된 사연 (매일노동뉴스) (0) | 2018.01.25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안내] 한노보연 기획&출판 도서 안내
«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가 기획하고 펴낸, 꼭 읽어봐야할 노동자 노동안전보건 관련 도서» 안내
- 저희 연구소는 2015년부터 노동자의 노동, 건강, 삶을 고민하고 성찰할 수 있는 다양한 책들을 기획, 써왔습니다.
- 좋은 글이 세상의 빛을 볼 수 있도록 힘 써주신 저자분들과 출판사에 다시 한번 더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 2018년에도 좋은 책들이 묻히지 않고, 많은 분들에게 읽혀 세상을 바꾸는데 조금의 힘이 되길 바랍니다.
● 「우리는 왜 이런 시간을 견디고 있는가 - 삶을 소외시키는 시간의 문제들」
* 2015, 노동시간센터, 강수돌, 김보성, 김영선, 김인아 외
☞ 구매하러 가기
yes24 https://goo.gl/bJ4p89
(그 외 서점에서도 판매 중입니다)
● 「좋은 교대제는 없다」
* 2015,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저
☞ 구매하러 가기
yse24 https://goo.gl/yuZ16p
(그 외 서점에서도 판매 중입니다)
● 「굴뚝 속으로 들어간 의사들」
* 2017, 강동묵 동저, 나름북스
☞ 구매하러 가기
yse24 https://goo.gl/g94q8i
(그 외 서점에서도 판매 중입니다)
● 「결국 사람을 위하여 - 역사와 전기의 교차점 찾기」
* 2017, 사회건강연구소, 정진주 외, 소이연
☞ 구매하러 가기
yse24 https://goo.gl/HoHjjJ
(그 외 서점에서도 판매 중입니다)
● 「보이지 않는 고통」
* 2017, 김인아 외, 동녘
☞ 구매하러 가기
yse24 https://goo.gl/PpRPdo
(그 외 서점에서도 판매 중입니다)
'한노보연 활동 > ο활 동 소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자회견] 반복된 노동자의 죽음에도 산재 사망사고 은폐하는 고용노동부 천안지청 규탄 기자회견 (0) | 2018.01.26 |
---|---|
[토론회] 직업환경의학 <올해의 현장 2018> 안내 (0) | 2018.01.16 |
[안내] 한노보연 기획&출판 도서 안내 (0) | 2018.01.02 |
[2018-1월 월례토론] 뇌심혈관계질환 직업병 인정기준 고시안 검토 - 개선지점과 과제 정리 (0) | 2018.01.02 |
[성명서] 실효성 있는 이주노동자 인권, 노동권 개선대책을 즉각 마련하라! (0) | 2017.12.28 |
[기자회견] 항소심 결심공판, 이재용 엄중처벌 촉구 기자회견 (0) | 2017.12.27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언론보도] 서평-40년간 노동자 건강을 연구한 학자가 쓴 <보이지 않는 고통> (오마이뉴스)
그들은 관심 없다, 내가 무슨 일을 하는지
[서평] 40년간 노동자 건강을 연구한 학자가 쓴 <보이지 않는 고통>
정확한 날이 기억나지는 않지만, 노동조합과 함께 대구시 녹색환경국 자원순환과에 면담을 하러 간 날이었다. 나는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나온 환경미화원 산업안전 관련 자료를 가지고 갔다. 다른 공공분야보다, 청소환경분야 노동자들이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률이 높고 다양한 환경에 노출될 수 있으니 감염과 자상에 노출될 위험이 높다는 통계를 내밀었다.
'한노보연 활동 > ο언 론 보 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론보도] 운전노동자 노동시간, '특별히' 더 짧아야 한다 (오마이뉴스) (0) | 2018.01.03 |
---|---|
[언론보도] 아쉬운 뇌심혈관질환 업무상질병 인정기준 고시 개정안 (매일노동뉴스) (0) | 2017.12.28 |
[언론보도] 서평-40년간 노동자 건강을 연구한 학자가 쓴 <보이지 않는 고통> (오마이뉴스) (0) | 2017.12.28 |
[언론보도] [정유진의 사이시옷]우리는 그 죽음들에 익숙해질 자격이 없다 (경향신문) (0) | 2017.12.27 |
고용노동부 산재보상정책과 “뇌혈관 질병 또는 심장 질병 및 근골격계 질병의 업무상 질병 인정 여부 결정에 필요한 사항” 고시 개정 예고에 대한 의견서 (0) | 2017.12.26 |
[언론보도] 장시간 노동만 과로가 아니다 (매일노동뉴스) (0) | 2017.12.21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사회건강연구소 2018년 상반기 독서모임 "날개 딸린 책꾸러미" 안내
'한노보연 활동 > ο활 동 소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명서] 실효성 있는 이주노동자 인권, 노동권 개선대책을 즉각 마련하라! (0) | 2017.12.28 |
---|---|
[기자회견] 항소심 결심공판, 이재용 엄중처벌 촉구 기자회견 (0) | 2017.12.27 |
사회건강연구소 2018년 상반기 독서모임 "날개 딸린 책꾸러미" 안내 (0) | 2017.12.18 |
<일터 24시> 프로젝트 참여자를 기다립니다 (0) | 2017.12.18 |
[성명서] 끊이지 않는 현대제철 사망사고, 전면 작업중지 실시하라! (1) | 2017.12.14 |
[청원] 삼성 이재용을 엄중 처벌하여 정의를 바로 세워야 합니다 (0) | 2017.12.14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언론보도] 노동자와 과학자, 서로 손 내미는 사회를 위해 (매일노동뉴스)
2000년 어느 날 색연필 공장에 가서 검진을 했다. 수검자 대다수를 차지하던 중년 여성노동자들은 말했다. “오래 서서 일하기 때문에 다리가 아프고 핏줄이 보여요. 자다가 다리가 저려서 자주 깨기 때문에 피곤해요.” 하지만 필자는 직업의학 교과서에서도, 학술논문에서도, 산업안전보건법에서도 의사가 이러한 문제에 대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찾을 수 없었다. 답답한 마음에 외국 인터넷서점에서 검색을 하다가 캐런 메싱의 책을 발견했다.
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8604
'한노보연 활동 > ο언 론 보 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론보도] 7가지 이주민의 생을 말하다 (미디어오늘) (0) | 2017.12.20 |
---|---|
[언론보도] 직업계 고교 현장실습 폐지-찬성 (서울경제) (0) | 2017.12.15 |
[언론보도] 노동자와 과학자, 서로 손 내미는 사회를 위해 (매일노동뉴스) (0) | 2017.12.15 |
[언론보도] 고용불안 노동자 ‘우울증 위험’ 고용안정 때보다 2.7배 높아 (경향신문) (0) | 2017.12.14 |
[언론보도] 일터 정신건강 예방의무 필요하다 (매일노동뉴스) (0) | 2017.12.14 |
[언론보도] [사람 잡는 택시 장시간 노동 도대체 왜?] 택시기사 78% 주 60시간 이상 근무 "사납금 채워야죠" (매일노동뉴스) (0) | 2017.12.13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서평] 누군가의 고통은 보이지 않는다 / <보이지않는고통>
누군가의 고통은 보이지 않는다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자 했던 과학자의 분투기 <보이지 않는 고통>
니나는 기차를 청소하는 노동자다. 그녀는 열차 내부와 열차 안 화장실을 청소하는데, 하루에 무려 200여 개의 화장실을 청소한다. 속도를 내기 위해 발로 걸레를 밀어 바닥을 닦고, 동시에 손으로는 세면대와 거울을 닦기도 한다. 빠르면서 동시에 깨끗한 청소를 위해서는 기술적으로 상당한 요령이 필요하다.
'한노보연 활동 > ο활 동 소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보] 이주민 구술사 프로젝트 <담> 단행본 사전주문 안내 (0) | 2017.12.07 |
---|---|
[기자회견] 더는 죽이지 마라! 산업체 파견 현장실습 폐지를 촉구한다 (0) | 2017.11.30 |
[서평] 누군가의 고통은 보이지 않는다 / <보이지않는고통> (0) | 2017.11.29 |
[기자회견] 살해당한 태국이주여성노동자 추모와 단속추방 중단 및 이주민인권보장촉구 기자회견 (1) | 2017.11.23 |
[기자회견] 장시간 노동, 과로사 근절을 위한 안전보건시민단체부문 기자회견 (0) | 2017.11.22 |
[성명서] 또 한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다. 차별없는 정규직 전환 즉각 실시하라. (0) | 2017.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