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안전 자료실/ο발간 보 고 서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조사 제대로 하기 안내서] 더 건강하고 행복한 노동을 위한, 골병 제대로 잡기 한노보연 2019. 3. 12. 12:34 더 건강하고 행복한 노동을 위한,골병 제대로 잡기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조사제대로 하기 안내서 1. 왜 만들었나.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조사 제대로 하기 안내서>흔하고 심각한 근골격계 질환에 대해 제대로 대응해야유해요인조사를 제대로 해서 근골격계질환 잡고 일터를 바꿔야2. 근골격계 질환이란?1) 근골격계 질환이란 무엇인가2)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3) 근골격계 질환의 특징과 단계4) 대표적인 근골격계 질환5) 업종별 근골격계 질환 인간공학적 유해요인과 주요 관련 업무3.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조사 어떻게 하고 있나1) 낮은 실시율, 제조업 중심 시행2) 법적 의무 이행에 초점을 둔 형식적인 조사3) 치료와 일터 개선으로 이어지지 못 하는 조사4.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조사 관련 법제도1) 현행법의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조사2)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조사 법제도 개선 과제5.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조사 기획하기1)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조사 기획 시 기본 원칙2)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조사 기획 어떻게 해야 하나 6. 유해요인조사 하기1) 사전준비2) 노사협의과정3) 교육활동4) 유해요인조사 현장조사5) 결과정리6) 후속조치를 위한 협의7) 후속조치 제대로 하기7.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조사, 노동조합 상황에 맞는 준비와 대응은 이렇게!1) 노사합의로 제3의 조사기관이 유해요인조사를 할 때2) 유해요인조사를 노조가 주도할 때3) 근골 유해요인조사를 사측 주도로 할 때4) 유해요인조사를 안 해 본 업종에서8.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조사 도구9. 노동자가 더 안전하고 건강하게 일 할 수 있는 일터 만들기1)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조사 제대로 하기2) 유해요인조사 관련 제도개선 및 고용노동부의 역할 강화부록 증상설문, 근골설문, 설문단축형, 면접 근골매뉴얼-최종.pdf 저작자표시 (새창열림)